![[L16] 여러가지 특수 권한_Linux/centOS](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3RG6%2Fbtrr7p7k65G%2F87Hj5eqSs7sPn10vWAK0BK%2Fimg.jpg)
[L16] 여러가지 특수 권한_Linux/centOSLinux공부2022. 2. 5. 10:00
목차
작업 주체 | 작업 대상 | 필요 권한 | |
1. | kdj | ~kdj | owner 영역 x 권한 |
2. | kdj | ~kdj | owner 영역 r 권한 |
3. | kdj | html | 소유권에 따른 영역의 x 권한 |
4. | kdj | html | 소유권에 따른 영역의 w 권한 |
5. | apache | html, index.html | other 영역 x 권한, other 영역 r 권한 (이 파일의 권한은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파일은 무조건 본다) |
특수 권한
- 특이한 동작을 하는 권한
- setUID, setGID, sticky bit 3가지의 특수 권한이 있다.
4777 r w x r w x r w x setUID
2777 r w x r w s r w x setGID
1777 r w x r w x r w t sticky bit
*x 위치의 문자가 s/t로 변경
(x가 있는 상태였다면소문자 s/t를 사용하고 x가 없는 상태였다면 대문자 S/T를 사용한다)
ex)
rwsr-xr-x : 4755
rwSr-xr-x : 4655
sticky bit
- 디렉토리에 설정하는 특수 권한
- 디렉토리 내부에 하위 파일 및 디렉토리 생성은 권한만 있으면 누구나 가능하지만
- 하위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는 대상의 소유자(소유권의 UID)와 관리자만 가능하다.
setUID
- 실행 파일에 설정하는 특수 권한
- 파일이 동작하는 동안 owner의 권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특수 권한
- 동작하는 동안 owner가 된다라고 생각해도 큰 차이 x
umask
- 생성하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허가권을 제어하는 값
- 사용자 계정마자 부여되어 있는 값
- 파일 및 디렉토리의 기본 권한 값에서 생성 작업을 입력한 사용자의 umask 값을 뺀 나머지가 만들어질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 값 (파일 기본 : 666, 디렉토리 기본 : 777)
- 숫자로만 보고 계산을 하면 절대로 안됨 (파일의 기본 권한에는 x가 없기 때문이)
- 명령어 형식
- umask : 자신의 umask 확인
- umask <값> : 자신의 umask 변경
Other의 w 권한이 없어서 root가 아닌 사용자는 해당 디렉토리에 파일을 생성하지 못한다.
Other의 w 권한을 추가하니 잘 생성된다.
해당 파일을 user1 사용자가 삭제할 수 있다.
sticky bit를 추가해서 x자리에 t가 생성된다.
kdj 사용자로 생성 후
user1 사용자로 삭제해봤지만 불가능하다.
kdj 사용자로는 삭제가 가능하다.
비밀번호 변경 명령어 passwd 실행 파일이 어느 경로에 있는지 확인한다.
passwd 파일의 권한은 4755임을 확인할 수 있다.
권한이 4755일 때는 kdj 사용자에서 비밀번호 변경이 가능하지만 755일 때와 4750는 불가능하다.
허가권 | 명령 실행 | 변경 | |
4755 | O | O | r w s r - x r - x |
755 | O | X | r w x r - x r - x |
4750 | X | X | r w s r - x - - - |
root 사용자로 홈 디렉토리에 파일f1과 디렉토리d1 생성한다
kdj 사용자로 파일f2와 디렉토리d2 생성한다.
권한 확인(umask 때문에 권한이 다르게 나온다)
728x90
반응형
'Linux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18] rpm과 세부적인 패키지 파일 설치 방법_Linux/centOS (0) | 2022.02.09 |
---|---|
[L17] 프로그램 설치와 압축, 그리고 의존성 오류_Linux/centOS (0) | 2022.02.07 |
[L15] http와 허가권 및 소유권_Linux/centOS (0) | 2022.02.03 |
[L14] 권한과 권한 표현 방법_Linux/centOS (2) | 2022.02.01 |
[L13] 사용자 계정과 그룹 수정 및 삭제_Linux/centOS (2) | 2022.01.30 |
@kdj :: Childev'note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