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v.1 추억 점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sUFFL%2FbtssNtGP9pF%2FrLcZDkLnQoWCEGXLwCJaK1%2Fimg.png)
문제 설명
사진들을 보며 추억에 젖어 있던 루는 사진별로 추억 점수를 매길려고 합니다. 사진 속에 나오는 인물의 그리움 점수를 모두 합산한 값이 해당 사진의 추억 점수가 됩니다. 예를 들어 사진 속 인물의 이름이 ["may", "kein", "kain"]이고 각 인물의 그리움 점수가 [5점, 10점, 1점]일 때 해당 사진의 추억 점수는 16(5 + 10 + 1)점이 됩니다. 다른 사진 속 인물의 이름이 ["kali", "mari", "don", "tony"]이고 ["kali", "mari", "don"]의 그리움 점수가 각각 [11점, 1점, 55점]]이고, "tony"는 그리움 점수가 없을 때, 이 사진의 추억 점수는 3명의 그리움 점수를 합한 67(11 + 1 + 55)점입니다.
그리워하는 사람의 이름을 담은 문자열 배열 name, 각 사람별 그리움 점수를 담은 정수 배열 yearning, 각 사진에 찍힌 인물의 이름을 담은 이차원 문자열 배열 photo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사진들의 추억 점수를 photo에 주어진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3 ≤ name의 길이 = yearning의 길이≤ 100
- 3 ≤ name의 원소의 길이 ≤ 7
- name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name에는 중복된 값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 1 ≤ yearning[i] ≤ 100
- yearning[i]는 i번째 사람의 그리움 점수입니다.
- 3 ≤ photo의 길이 ≤ 100
- 1 ≤ photo[i]의 길이 ≤ 100
- 3 ≤ photo[i]의 원소(문자열)의 길이 ≤ 7
- photo[i]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photo[i]의 원소들은 중복된 값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name yearning photo result
["may", "kein", "kain", "radi"] | [5, 10, 1, 3] | [["may", "kein", "kain", "radi"],["may", "kein", "brin", "deny"], ["kon", "kain", "may", "coni"]] | [19, 15, 6] |
["kali", "mari", "don"] | [11, 1, 55] | [["kali", "mari", "don"], ["pony", "tom", "teddy"], ["con", "mona", "don"]] | [67, 0, 55] |
["may", "kein", "kain", "radi"] | [5, 10, 1, 3] | [["may"],["kein", "deny", "may"], ["kon", "coni"]] | [5, 15, 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첫 번째 사진 속 "may", "kein", "kain", "radi"의 그리움 점수를 합치면 19(5 + 10 + 1 + 3)점 입니다. 두 번째 사진 속 그리워하는 사람들인 "may"와 "kein"의 그리움 점수를 합치면 15(5 + 10)점입니다. 세 번째 사진의 경우 "kain"과 "may"만 그리워하므로 둘의 그리움 점수를 합한 6(1 + 5)점이 사진의 추억 점수입니다. 따라서 [19, 15, 6]을 반환합니다.
풀이 과정에서 알게 된 것
운 좋게도 1제출1성공 했다. name과 yearning배열이 하나로 움직였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처리해야할까 하다가 클래스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런데 다시 생각해보니 그냥 인덱스도 똑같으니까 굳이 클래스 안쓰고 photo 다중 for문 돌면서 name에서 해당 값이 있는지 찾고 그 인덱스와 동일하게 yearning 배열에서 찾아서 더해줬으면 어땠을까 싶기도 하다. 어쨌든 이렇게 풀면서 알게 된 것은-
중첩된 배열을 탐색할 때 forEach 문 사용법
const nestedArray = [
[1, 2, 3],
[4, 5, 6],
[7, 8, 9]
];
nestedArray.forEach((innerArray) => {
innerArray.forEach((value) => {
console.log(value);
// 여기에 각 요소에 대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
});
- 이런 식으로 반복문도 마찬가지로 중첩으로 만들어서 내부 배열의 요소에 접근한다.
- 먼저 외부 배열을 forEach 문으로 반복하고, 그 안에서 내부 배열을 다시 forEach 문으로 반복한다.
- 내부 배열의 각 요소에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려면 내부 forEach 루프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클래스 객체 배열에서 특정 조건에 만족하는 값을 찾아서 사용하는 법
class Player {
constructor(name, pts) {
this.name = name;
this.pts = pts;
}
}
const players = [
new Player("john", 15),
new Player("mark", 20),
new Player("jane", 18)
];
const targetName = "mark";
let ptsValue;
players.forEach(player => {
if (player.name === targetName) {
ptsValue = player.pts;
}
});
if (ptsValue !== undefined) {
console.log(`The pts value for ${targetName} is ${ptsValue}`);
} else {
console.log(`Player with name ${targetName} not found`);
}
이번 문제에서 list 배열에 클래스 객체들을 담았다. 때문에 우선 list에서 forEach문을 돌았다. 그냥 클래스 객체 배열에서 반복문을 돌면 된다. 값은 인자.name 이런식으로 접근한다.
for each 문의 인자
모르고 있었는데 이번에 알게 되었다.
const myArr = [1, 2, 3, 4, 5];
const newMyArr = myArr.forEach((currentElement, index, array) => {
console.log(`요소: ${currentElement}`);
console.log(`index: ${index}`);
console.log(array);
});
console.log(newMyArr); // undefined
- forEach문의 파라미터는 콜백함수
- 그 콜백함수의 파라미터는 요소, 인덱스, 현재 map 메서드를 호출한 배열
풀이
class MissingPts {
constructor(name, pts){
this.name=name;
this.pts=pts;
}
}
function solution(name, yearning, photo) {
var answer = [];
let list = [];
for(var i=0; i<name.length; i++) {
list[i] = new MissingPts(name[i],yearning[i]);
}
photo.forEach(innerPhoto => {
let points=0;
innerPhoto.forEach(item=> {
list.forEach(value=>{
if(value.name===item) {
points+=value.pts;
}
});
});
answer.push(points);
});
return answer;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Lv.1 개인정보 수집 유효기간 (0) | 2023.09.15 |
---|---|
[프로그래머스] Lv.1 둘만의 암호 (0) | 2023.09.14 |
[프로그래머스] Lv.1 카드 뭉치 (0) | 2023.09.13 |
[프로그래머스] Lv.1 달리기 경주 (0) | 2023.08.31 |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